(function () { // initialize the test var test = vhCheck(); }());

반려동물들의 병을 고쳐주는 수의사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2022. 6. 16. 23:52반려동물의 전문의들

반응형

안녕하세요. 댕댕이들이예요~  오늘은 반려동물의 물리적 아픔을 치료해주는 수의사에 대해 소개할려고 해요.

수의사분들도 의사와 마찬가지로 사람이 아닌 동물들의 병들을 치료해주는데요.

정말 대단한 분들이라고 생각해요~

 

수의사는 어떻게 탄생되었는지부터 알아볼께요~

 

의사에 대한 동북아시아권 최초의 기록은 중국 주나라와 전국시대 각 국의 직제를 기록한 <주례>의 <천관총재>편에서 찾을 수 있어요.
주나라는 당시 국가의료기구에 속했던 의료관리를 의사, 식의, 질의, 양의, 수의의 편제로 나누었는데, 그 중 수의의 업무를 "수의는 수병, 수양의 치료를 관장했으며 , 수병을 치료하는 것은 관하여 행한다고 해요. 그리고  수양을 치료하는 것은 관하여 괄해요. 나쁜 것을 발하게 한 후에 약으로 기르고 먹여요. 무릇 수는 병과 양이 있는데 치료하여 죽으면 그 수를 진퇴하여 계산한다."라 기록했어요.
여기서 수병은 동물의 병을 뜻하고, 수양은 동물의 종기를 뜻하는데, 이를 통해 주나라 시대에도 동물의 병과 종기를 치료했던 직업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  또한 현재 쓰이고 있는 수의사라는 명칭은 여기에서 유래해요.
한국사에 최초로 등장하는 수의학 관련 인물  <일본서기>에 등장한 삼국시대 인물인 고구려의 혜자라며 , 혜자는 스이코 덴스 일본에 도착해 섭정 쇼토쿠 태자의 신하에게 료마법을 가르쳤는데 , 이는 일본에서 대대로 이어져 '태자류(太子流)'가 되었고, 일본 수의학계는 이 시기에 체계적인 수의학이 최초로 일본에 도입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어요.

'수의'에 대한 기록은 이후 고려시대에도 등장하는데, 고려 문종 30년 '수의박사'라는 관직이 12목에 배치되어 수의학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는 한국사 최초로 등장하는 수의 관련 관직이며, 수의학 교육이 실시된 최초의 명문화된 기록이기도 한답니다.
여말선초시대 정도전과 함께 역성혁명을 주도한 개국공신 중 하나였던 조준은 수의학, 수의사의 역사에 있어서 특이할만한 인물이고 , 그는 우왕 14년 왕에게 "사복시에 수의 5인과 구사 30인을 제외한 나머지는 파하라"라 간하였어요. 또한 조준은 한국사 최초의 수의학 서적인 신편집성마의방우의방을 편찬하여 말과 소의 병과 치료법을 정리하였어요.
조선시대에 수의사는 수의 혹은 마의라고도 불리었는데, 경국대전에 의거하여 사복시에 종6품에서 종9품까지의 마의 10인이 배정되었다고 해요.

 

(수의사의 역사가 깊다는걸 느끼네요..)

 

 

수의사가 되는과정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아요~

 

# 응시자격(수의사법 제9조)


  ① 수의학을 전공하는 대학(수의학과가 설치된 대학의 수의학과를 포함한다)을 졸업하고 수의학사 학위를 받은 사람. 이 경우 6개월 이내에 졸업하여 수의학사 학위를 받을 사람을 포함하며.
  ② 외국에서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인정하는 수의학을 전공하는 대학을 졸업하고 그 국가의 수의사 면허를 받은 사람

 

# 결격사유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수의사가 될 수 없다고 한다. (수의사법 제5조).
  ① 「정신보건법」 제3조제1호에 따른 정신질환자. 다만,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가 수의사로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인정하는 사람은 그러하지 아니해요.
  ② 피성년후견인 또는 피한정후견인
  ③ 마약, 대마, 그 밖의 향정신성의약품 중독자. 다만,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가 수의사로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인정하는 사람은 그러하지 아니해요.
  ④ 수의사법, 「가축전염병예방법」, 「축산물위생관리법」, 「동물보호법」, 「의료법」, 「약사법」, 「식품위생법」 또는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을 위반하여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지 아니하거나 면제되지 아니한 사람

 

시험과목시험내용문제

기초수의학 생체의 구조와 기능, 약리작용과 독성 작용, 생식과 성숙 100 문제당 1점, 객관식 5문제 선다형
예방수의학 질병과 병태생리, 병인론, 감염과 예방, 기생충질환, 면역, 공중위생 100
임상수의학 소화기/호흡기질병, 근골격계질병, 순환/조혈기질병, 내분비/대사성질병, 비뇨/생식기 질병, 유방질병, 진찰/진단/검사, 중독, 치료와 합병증 등 임상진료와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 130
수의법규 · 축산학 수의관련 법령 및 동물 윤리와 복지, 축산일반(사육·육종·환경·시설 등) 20

※ 배점 : 문제당 1점, 객관식 5문제 선다형

 

 

 

 

수의사가 하는일은 어떤것들이 있는지도 궁금하네요~

 

# 동물 내ㆍ외부기관의 질병, 장애 및 상처를 검사, 진단, 치료하고 수술해요.

# 동물의 분만을 돕구요.

# 축산농가의 철저한 위생관리를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폐사되는 일이 없도록 방역업무를 해요.

# 이와 관련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검사를 수행하며 돼지 콜레라 및 광견병 등과 같은 전염병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해요.

# 동물의 시체를 검사하여 사인을 규명하거나 수ㆍ출입되는 가축물과 고기, 계란, 우유, 어패류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판정해요.

# 동물보호 및 사육에 관하여 조언해요.

# 가축의 품종개량 등에 대해 연구하고 개발해요.

# 동물을 매개체로 인간에게 전염되는 질병에 관해 연구하고 예방 및 치료에 필요한 약품을 연구하고 개발해요.

# 경마, 승마용 말을 대상으로 약품테스트나 신체검사를 수행하며, 부상당한 말을 치료해요.

# 동물원과 야생환경에서 생활하는 야생동물을 관리하고 치료해요.

# 검역과 방역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 시행해요.

 

https://youtu.be/qiMECNEomEs

 

수의사의 향후 전망은 어떨까요?

 

수의사의 고용은 증가할 것이며 , 1인 가구, 고령인구가 증가하면서 개나 고양이 등 반려동물에게서 정신적 위안을 얻으려는 사람이 늘고 있어요. 자연스럽게 동물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반려동물에 대한 예방접종, 치료, 분만, 건강관리를 담당하는 수의사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고 하며 , 최근에는 조류인플루엔자, 구제역, 광우병 등 동물 질병에 대한 검역, 방역이 중요해지고 있어요. 이에 따라 가축의 검역과 방역을 담당하는 수의사 인력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고 해요. 또한, 먹을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안전한 축산물 먹을거리 공급을 위해 위생관리를 담당하는 수의직 공무원이 다소 증가할 수 있으며 , 수의사 면허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시험을 통해 동물검역, 가축방역, 공중보건 등의 수의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이 될 수 있데요. 그리고 매년 대학의 수의학과에서는 약 500명 이상의 수의사가 배출되고 있으므로 수의사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여요. 하지만, 배출되는 수의사가 증가함에 따라 도심지에서 동물병원을 개업하려는 수의사 간에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점도 주지해야 한다는 점!

 

(명심하는게 좋을것 같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