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견(10)
-
`레이디와 트램프'의 레이디 견종인 카발리에 킹 찰스 스파니엘에 대해서 알아봐요~!
안녕하세요~! 댕댕이들입니다. 디즈니의 클래식 애니메이션 를 아시나요~? 거기에 나오는 레이디의 견종이 바로 카발리에 킹 찰스 스파니엘입니다~! 오늘 같이 알아볼까요~! 카발리에 킹 찰스 스파니엘의 역사 18세기 이전까지 영국 왕실의 애완견 자리를 지키고 있었으나 18세기의 유럽 트렌드가 눈과 입 사이가 짧은 개라서 현재의 킹 찰스 스파니엘의 모습으로 변형되었다고 해요. 이후 원형을 찾아볼 수 없었으나, 1920년에 미국인 로스웰 엘드리지가 킹 찰스 스파니엘을 모델로 5년 동안 연구하여 1925년 개발한 품종이에요. 빼어난 자태만큼이나 뛰어난 출신을 자랑하는 견종으로서, 17세기 영국의 국왕 찰스 2세가 자신이 키우던 스파니엘을 너무도 아낀 나머지 왕의 이름인 '킹 찰스'를 하사했다고 알려져 있어요..
2022.07.14 -
털이 로커같은 길이의 소유자 아프칸하운드를 알아보려고 해요.
안녕하세요. 댕댕이들이예요~ 로커들이 헤어를 길게 하고 있다면 강아지 중에서 로커의 헤어를 따라하는건지 길게 늘어뜨린 아프칸하운드를 아시나요? 비단결 같은 머릿결을 가졌고 달리기도 빠른 편에 속하다고 하네요~ 아프칸하운드를 파헤쳐 보러 가보아요. 아프칸하운드의 역사 아프간하운드 역사는 수천년전 아프가니스탄 및 파키스탄, 인도 북부의 유목민에 의해 많이 길러져 번성하게 된 이후 몽골의 징기스칸과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이 지역을 차지하여 아프간하운드의 품종의 역사에 대한 자료가 대부분 사라지게되어 정확한 역사를 알기는 힘들다고 해요. 아프간하운드는 산악지형에 잘 적응하도록 개량된 품종으로 사냥꾼으로서 영양과 같은 초식동물을 포함해 표범과 같은 맹수 또한 추적 및 사냥에 도움을 주었다고 전해져요. 이후 1..
2022.07.06 -
옛날엔 날씬하고 지금과는 다른 외모를 가졌던 불도그를 알아보려고 해요.
안녕하세요. 댕댕이들이에요~ 불도그이라고 하면 어떤 게 먼저 떠오르시나요? 외모? 성격? 생김새? 어떤 건가요? 그냥 '불도그'이라고만 이야기하면 보통 '잉글리시 불도그'를 의미하는데요~ 몰랐던 부분이 많더라고요~ 우락부락한 외모와는 달리 의외로 순둥순둥 한 순둥이들이 많은 '불도그'이랍니다. 처음으론 불도그의 역사를 알아보아요 영국의 국견으로 영국 잉글랜드가 고향이래요. 그래서 이름도 '잉글리시 불도그'이라는 점. Bull(수소) Dog(개)를 그대로 따온 이름으로, 발정기가 온 수소는 너무 난폭하여 컨트롤 하기엔 사람의 힘으로는 역부족이여서 소를 컨트롤하기 위해 태어난 견종이랍니다. 그러한 수소를 컨트롤하는 최초의 '불도그' 역시 사납고 사람을 다치게 할 수 있다는 이유로 '밴도기'로도 불렸다고 해요..
2022.07.05 -
왕족의 족보계의 크리스탈 페르시안 고양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안녕하세요. 냥냥이들이예요~ 왕족이 키웠다는 페르시안 고양이를 소개 할려고 해요. 어떤 매력이 숨어있을까요?~ 정말 궁금하네요^^ 페르시안의 유래부터 알아보도록 할께요~ 18세기 초 유럽에 처음 전해졌는데 확실한 기원이 알려져 있지 않았지만 , 16세기 아시아에서 패르시아에 터키의 앙카라에서 온 장모종 고양이가 전해졌다는 기록이 남아있긴 하지만 구마인 선조라는 설이 있어요. 이란의 옛 나라인 페르시아 제국의 상형문자에 나타난 것에 의하면 사막을 이동하며 무역을 하던 캐러밴들이 무역상품에 긴 털을 가진 고양이가 포함되어 있었고 고양이의 기원지에 따라 이름을 ‘페르시안’이라 불렀데요. 이 상형문자에 나온 고양이가 현재의 페르시아고양이의 선조라면 기원은 B.C 1524년보다 훨씬 이전의 일일 것으로 추정되지만..
2022.06.08 -
모든 견종을 통틀어 가장 작다는 치와와를 알아보려고 해요.
안녕하세요. 댕댕이들이예요~ 모든 견종을 봐도 가장 작은 품종이라 하는 치와와를 소개할려고 해요. 치와와는 분노가 많다고도 하는데 어찌된걸까요?~ 첨엔 역시 치와와의 유래부터 봐야겠죠~ 치와와의 기원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민속학과 고고학적 근거에 의해 지금의 맥시코 지역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어요. 이러한 설에서는 톨텍 문명에서 기르던 테치치(Techichi)라는 사라진 품종이 치와와의 기원이었을 것으로 보고 있는데 , 톨텍인들은 테치치가 저승과 인간을 이어주는 존재로 보고 제물로 바치거나 순장시켰다고 해요. 이후 톨텍 문명의 후예인 아즈텍 제국 시절에 테치치가 다른 개들과 교배되며 치와와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구요. 콩키스타도르의 지휘관이었던 에르난 코르테스의 편지에 따르면 아즈텍인들이 작은 개..
2022.06.07 -
통통한 볼살이 귀여운 시바견에 대해 소개할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댕댕이들이예요~ 보드라운 통통한 볼살이 말랑하기까지한 시바견을 소개할려고 합니다. 길거리에서 볼수 있는 진돗개와는 조금 다른 매력을 가진 시바견을 만나러 함께 가보아요~ 처음으로 알아볼것은 어떻게 유래가 되었는지부터 하나하나 알아가볼께요. 일본의 옛 유적에서 뼈가 발견 되었다고 하는 역사가 깊은 아이입니다. 그러나 '시바견'이라는 견종으로 인정받은 역사는 100년이 채 안 된다고 하네요. 그리고 메이지 유신 이후 쇼와 시대에 처음으로 시바견이라는 단어가 문헌에 등장하며 견종으로 인정받았어요~ 제2차 세계대전 직후에는 굶주림과 역병 때문에 멸종될 뻔한 역사도 있었어요. 그래서 현존하는 시바견은 2차대전 이후 살아남은 3개의 혈통이 서로 섞여있으며 , 시마네현의 산인 시바, 기후현의 미노 시바,..
2022.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