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 () { // initialize the test var test = vhCheck(); }());

신혼부부의 행복한 앞날을 기원하는 행운의 마스코트 코랫 고양이를 알아보려고 해요~

2022. 7. 23. 23:26냥냥이들

반응형

안녕하세요. 냥냥이들이에요~

뒷다리가 더 길고 코가 크며 하트형 얼굴을 하고 있는 우아한 품종의 코랫 고양이!!

‘시 사왓’ 또는 ‘행운의 고양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코랫 고양이~   정말 신기한것 같아요.

후각도 많이 발달하여 냄새를 잘 맡고 , 높은 곳을 좋아해서 올라가는것을 잘한다고 하는 코랫 고양이 같이 알아볼까요?

 

 

 

 

코랫 고양이의 역사

 

 이 푸른 빛의 고양이의 아름다움을 칭찬한 최초의 기록은 14세기에 작성됐지만 이미 그전부터 코랫 고원에 서식했는데 ,     자세히 보면 태국의 고서에도 등장하는 역사가 긴 품종인 코랫이라는 이름은 고대 시암 왕국 원산지가 태국 북서부 코랫 고원이어서 "코랫"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뜻의 "시사왓드"라 부르기도 한다고 해요. 그래서  태국에서는 결혼을 하면 결혼 선물로 코랫 한 쌍을 선물한다고 하는데 , 코랫 한 쌍을 선물하면 그 가정에 재물과 행복을 가져다준다고 믿는 풍습 때문이라고 하죠. 그런데 태국과 다른 아시아 국가에서 사랑받던 코랫이 서양에 알려지게 된 것은 20세기경이며 , 1959년에 미국으로 건너갔으며 유럽에는 그보다 10년 이상 늦게 진출했어요.

 

코랫
코랫

 

 

코랫 고양이의 성격

 

매우 활동적이지만 점잖은 성격 덕분에 가만히 있기도 하며 집사를 잘 따른다고 하는데 , 얌전하고 조용한 편이에요. 하지만 독점욕이 강한 편이라 항상 집사에게 찰싹 붙어있는 묘종 중 하나라고 하는군요. 그래서 서열 다툼에 민감한 편이라, 키우는 중간에 다른 고양이나 강아지가 들어오면 집사는 아주 피곤해지며 , 그 밖에는 아주 집사를 잘 따르는 개냥이일 뿐이죠. 외로움을 타는 성향 때문에 가족들 근처에서 멀리 벗어나려 하지 않으며 다른 고양이들을 지배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하는데 이 부분은 생활하는 환경에 따라 다를 것 같아요.

또한 애교가 넘치면서 차분한 묘종으로 실내에서 사는데 아무 문제가 없고 , 커다란 소음이나 갑작스러운 움직임에 예민하다고 해요. 그리고 주인에게는 애정이 넘치지만 모르는 사람이나 아이들이 갑자기 다가가면 위험할 수도 있으며 , 또 다른 고양이와 잘 지내지 못할 때도 있데요.

 

 

코랫 고양이의 특징

 

코랫 고양이는 얼굴에 비해 큰 귀를 소유하고 있으며 얼굴모양이 날렵한 러시안블루와는 다르게 둥글둥글한 하트 모양을 띠고 있어요. 그래서 눈은 전반적으로 넓은 동그란 형태와 녹색을 띠고 있으며 가슴이 벌어져 있어서 크기는 러시안블루보다는 작아 보일 순 있지만 덩치는 크다고 하네요  또한 코트 색은 러시안블루와 마찬가지로 은회색을 띠고 있지만 자세히 보면 좀 더 진하다고 하며 , 중형고양이로 넓은 하트모양의 머리를 가지고 있구요. 큰 녹색 또는 호박색의 눈과 넓은 가슴, 크고 둥근 귀가 특징적이고 , 청회색의 짧고 매끄러운 털이 나며, 끝으로 갈수록 은색빛이 돌아 윤기가 띄어요.

그리고 러시안 블루와 비슷하나 러시안 블루의 얼굴이 평평한 반면 코랫은 경사가 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죠.

 

코랫
코랫

 

코랫 고양이의 질병과 관리

 

코랫 고양이의 유전성 질환은 리소좀축적증 질환이 야기되며 해당 질환은 어릴 때 치명적인 만큼 조기에 발견하여 솔루션을 찾는 것이 이롭다고 해요. 추가로 다른 고양이와는 다르게 감각이 많이 예민한 편이라 갑작스러운 접촉이나 소리에 쉽게 놀란다고 하며 , 다른 품종처럼 코랫 고양이도 질병에 걸리기 쉽다고 하는데 , 특히 GM-1과 GM-2 깅글리오시드종은 뇌와 척수의 뉴런을 지속적으로 파괴하는 유전적 질병을 가지고 있다고 해요.

 

 

 

마지막으로 코랫 고양이의 수명은?

 

코랫 고양이의 평균적으로 알려진 수명은 15년이상 된다고 하는데 ,

사랑과 애정 , 관심을 듬뿍 주시고 관리를 잘해주신다면 단순한 수치에 불과할 수 있다는것을 알게될꺼에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