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 () { // initialize the test var test = vhCheck(); }());

바이킹의 후예라 자칭하는 스웨디시 발훈트를 알아보려고 해요.

2022. 8. 20. 23:55댕댕이들

반응형

안녕하세요. 댕댕이들이에요~

원산지는 스웨덴이며 , 스웨디쉬 발훈 트라는 견종의 유래를 살펴보자면 발 훈트를 스웨덴어로 '농장의 개' 또는 가축을 돌보는 '목축 견'이라는 뜻이라고 한답니다. 따라서 스웨디시는 스페인을 일컫는 의미이고 , 스페인의 농장의 개 또는 스페인의 목축 견으로 그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고 전해져 와요.
스웨디시 발훈 트는 제목에 써놓았지만 바이킹의 후예? 어떤 연관이 있을지 벌써부터 궁금하네요. 같이 알아보아요~




스웨디시 발 훈트의 역사

농장에서 일하는 힘이 넘치는 만 능견이며, 농장의 소중한 재산인 소떼를 모는 일을 하였다고 해요. 그래서인지 발훈 트는 스웨덴의 토착 견으로 1000여 년 전의 바이킹 시대에는 바이킹의 개라고도 불렸다고도 하죠. 당시 스웨디쉬 발훈 트는 주로 가축을 몰거나 쥐를 잡거나, 집을 지키는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었으며, 농장에서는 중요한 일꾼으로 대접을 받았다고도 한답니다. 그리고 FCI 분류 그룹 5 스피츠와 프리미티브 타입 그리고 섹션 3 북유럽 경비견과 목축 견 스탠더드 넘버 (14)로 등록이 되어 있다고 해요. 한편 스웨디쉬 발훈 트는 전 세계적으로 희귀종에 속하는 견종이라고 하며, 그 개체수도 적은 편이라고 전해지고 있데요!

스웨디시 발훈트
스웨디시 발훈트

 

 

 

 

스웨디시 발 훈트의 성격

 

조심스럽고 힘이 넘치면서 용감하고 활동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 , 그래서인지 주인에게 순종하며 충성심이 있고, 부드러운 성격으로 주인을 잘 따르므로 훈련시키기에 좋다는 거예요. 또 스웨디쉬 발훈 트는 용감하고 활동적이면서 활발하며 정력적이어서 작업 견으로도 적당하다고 해요. 또한 민첩하고 호기심이 강하여 언제나 경계태세를 취하고 있으며, 독립심도 강하다고 하고요. 그래도 비교적 친화력이 좋은 편에 속한다고 하는 만큼, 가족이나 아이들에게도 순종적이고 친절하며 부드러운 성격이어서 가정 견으로도 선호된다고 할 수가 있을 거예요~ 

 

 

스웨디시 발훈트의 특징

 

체고는 33 ~ 40cm 정도이며, 체중은 11 ~ 15kg 정도로 크기의 구분에서는 중형 견에 속하는 견종이고, 암수 크기의 차이는 많이 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AKC의 그룹 구분에서는 일반적인 목축 견을 의미하는 허딩 그룹에 분류를 하고 있고, 한편 일반적인 사역 견을 의미하는 워킹 그룹에도 분류를 해 놓았다고도 합니다. 외모는 작고 다리가 짧으며, 강인해 보이지만, 오히려 이러한 외모는 조심스럽고 활동적이며 힘이 넘치는 듯한 인상을 준다고도 합니다. 그리고 신체 비율은 체고와 체장의 비율은 2:3가 정상적인 비율이라고 하며, 앞가슴의 가장 낮은 지점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길이는 결코 기갑까지 높이의 1/3 정도라고 합니다.

 

 

스웨디시 발훈트
스웨디시 발훈트

 

스웨디시 발훈트의 관리방법

 

주인이 강한 리더쉽으로 이끌어주는 것을 좋아하며, 또 임무를 맡기면 기뻐하면서 수행을 잘한다고 해요. 하지만 집요한 성격도 있다고 하는 만큼, 고집도 아주 센 편으로 보여지기도 하죠. 즉 끈기가 있고 강인하며, 열심히 일하는 개로 전형적인 목양견처럼 무모할 정도로 용감하다는 것인데 , 따라서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제어력도 가지게 하여야 할 거예요. 그리고 식탐은 어느 정도는 강한 편이고 , 지나치게 많이 먹지는 않는다고 하는 만큼, 적정 식사량만 관리를 해 준다면 비만 견에 대한 걱정은 크게 할 필요는 없을 것 같기도 해요. 하지만 운동량이 아주 많은 견종인 만큼, 실내에서 키우는 경우라도 충분하게 운동을 시켜주어야 할 것이고 , 운동량이 부족하면 괴팍해지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주의 바래요~

 

 

마지막으로 스웨디시 발 훈트의 수명은?

 

스웨디쉬 발훈트의 평균적 일반 수명은 12년~14년 정도 사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

사랑과 애정 , 관심을 듬뿍 주시고 철저한 관리를 해주신다면 단순한 수치에 불과하다는 것을 느끼실 거예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