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 () { // initialize the test var test = vhCheck(); }());

강아지들한테 해서는 안되는 행동은 어떤것들이 있을지 알아볼려고 해요.

2022. 9. 7. 23:38댕댕이들

반응형

안녕하세요. 댕댕이들이에요~

사람도 마찬가지로 정말 이건 안해줬으면 하는 행동이 있듯이 강아지들도 싫어하는 행동들이 있다고 해요.

정말 사랑하고 가족으로 생각한다면 싫어하는건 되도록이면 안하는게 제일 좋겠죠?   오늘 같이 알아보며 어떤것들을 안해야되는지 배워보도록 해요ㅎ

 

 

 

 

 

 

좋다고 안기(포옹)

 

강아지들은 안는 걸 좋아할 때도, 싫어할 때도 있는 반면 , 강아지의 성격이나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강아지가 포옹을 구속 및 가두려는 느낌으로 받아들인다면 싫어하게 되요. 이는 강아지 지능 순위로도 유명한 스탠리 코렌 박사의 연구에 의한 결과이지만 , 강아지와 보호자가 포옹하는 사진을 분석한 결과, 250장 중 약 80% 이상의 강아지가 불편하다는 징후를 보였다고 해요. 하지만 사진을 보고 분석한 것이니, 우리 강아지가 어떤지는 직접 안아보며 파악하는 게 더 좋은 방법이고 , 만약 벗어나려고 발버둥 친다면 안지 않는 게 좋겠어요.

 

 

예민한 후각을 자극하지 않기

 

강아지는 후각이 특히 예민한데 , 산책을 할 때도 시각보다는 후각을 더 많이 사용해요. 반면 , 산책을 할 때도 충분히 냄새를 맡는 시간을 줘야 해요. 그러니 강아지가 냄새를 맡고 있는데 리드줄을 억지로 당기거나 너무 바짝 매지 않는 게 좋고 , 이런 경우 냄새를 제대로 맡을 수 없어 좌절감을 느낄 수 있어요~

 

쨰려보는표정
째려보는 표정

 

 

쉬고 있을 때 애정표현

 

사람도 편히 쉬고 있는데 옆에서 누가 쓰다듬고 안고 그러면 좋을 때도 있지만 불편할 때도 있는데 , 강아지도 마찬가지에요. 그리고 주인에게 떨어져서 편하게 쉬고 있거나 자고 있을 때 귀엽다고 만지면 불편하게 생각한다고 하는데 , 강아지는 경계심이 강한 동물이기 때문에 약간의 자극으로 잠에서 깨면 경계심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해요.

 

 

산책줄 짧게하기

모처럼 나온 산책이라 강아지는 기분이 좋아 앞으로 가려고만 할 것인데 , 문제는 리드 줄을 짧게 잡으면 목줄이 계속 팽팽해져 강아지가 자극을 받고 긴장하게 된다는 점을 주의하면 좋아요. 그리고 ​목에 자극이 계속돼 건강에도 좋지 않을뿐더러 스트레스까지 받는다고 해요. 시간의 여유를 두고 산책을 나오는 것이 좋고 , 평상시 강아지 혼자 달리는 것이 아닌, 주인과 함께 산책할 수 있게 훈련하는게 좋겠어요~

 

 

놀려먹기(사랑한다고)

주인이 오히려 더 신이 나서 강아지와 놀아줄 때 주의가 필요하며 , 지나치게 신이 난 탓에 약을 올리는 듯한 장난을 친다면, 강아지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죠. 가령 장난감을 줬다가 뺐는 행동, 계속 깜짝 놀라게 하는 행동, 꼬리를 잡아당기는 행동, 간식으로 장난치는 행동이 대표적인 예이지만 , 강아지는 솔직한 동물이기 때문에 기대한 만큼 보상을 받지 않으면 상처받을 수 있다고 해요. ​반려견은 견주와 달리 자신을 놀리고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공격적으로 변할 수 있답니다~

욱한 표정
욱한 표정

 

 

강아지 얼굴 쓰담쓰담

 

강아지의 얼굴을 쓰다듬는 행동은 안 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

사람도 모르는 사람이 자신의 얼굴을 만지거나 쓰다듬는 행동은 싫어하듯이 강아지도 동일하게 느낄 수 있어서 그렇다고 해요.

 

 

갑자기 고함을 지르는

 

강아지는 사람보다 청각이 훨씬 뛰어난 반면 ,  TV 볼 때나 게임할 때 등 갑자기 “아!”하며 큰 소리를 내면, 강아지를 놀라게 할 수 있다고 하니 주의가 필요해요.

 

 

핸드폰만 하고 돌보지 않는

 

보호자가 핸드폰만 하고 강아지와 놀아주지 않는 것도 절대 있어선 안되는 거고 , 강아지가 지루함을 느끼고 심하면 우울해할 수도 있어요. 또한, 이런 상황이 반복된다면 강아지가 사나워지거나 장난감에 집착하게 될 수도 있고 , 특히, 산책할 때는 사고의 위험도 있으니 핸드폰을 넣고 강아지에게 집중할 수 있도록 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