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 () { // initialize the test var test = vhCheck(); }());

이렇게 큰 고양이도 있다니?! 메이쿤 고양이에 대해서 알아봐요~!

2022. 6. 20. 23:43냥냥이들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냥냥이들로 돌아 왔습니다~~

고양이들 중에서 가장 큰 고양이는 어떤 종일까요?! 정답은 오늘 알아볼 메이쿤 고양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잘 볼 수 없기 때문에 모르시는 분들이 더 많으 실 거 같아요.

그래서 오늘은 가장 큰 고양이인 메이쿤 고양이에 대해서 알아봐요!

 

세상에서 제일 큰 고양이 종 메이쿤 사진입니다.
메이쿤 고양이

 

 

메이쿤의 유래

 

미국 출신인 메이쿤은 미국 동부의 메인 주(Maine)에서 자연 발생한 품종으로 외형이 마치 너구라와 같다고 하여 메인주의 '메인'과 라쿤의 '쿤'을 각각 따와 메인쿤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하는데 , 이 아이의 기원에 대해서는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쿤'이라는 영국인 선장이 배에서 기르던 고양이가 이 지역에서 탈출하며 지역에서 서식하던 고양이와의 사이에서 낳은 새끼가 그 선조라고 하여 쿤(Coon Cat)라 불렸다는 설과 야생 너구리와의 사이에서 낳은 새끼가 조상이라는 설도 있다고 해요.

  1800년대 후반부터 점차 인기를 얻었지만 20세기 페르시아 고양이 등 외국에서 다양한 장묘종이 소개되면서 메인쿤의 수가 줄었다고 하네요. 그러나 20세기 후반부터는 집 고양이로 다시 인기를 얻어 다시 수가 증가하고 있다고 하네요. 

 

 

메이쿤의 성격 

 

거대한 고양이 메이쿤은 커다란 사이즈로 인하여 자칫 사나워 보일 수도 있지만 젠틀한 거인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어요. 겉모습과는 달리 순하고 느긋한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사람과도 잘 어울리는 친화력과 잘 울지 않고 고운 목소리를 가지고 있어 개냥이라고 불리며 이쁨을 많이 받는다고 하는데 , 새침데기 고양이의 이미지와는 달리 다른 동물들과도 잘 지내며 호기심이 많고 굉장히 똑똑하다고 하네요. 특히, 보통의 고양이들과 달리 앞발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메이쿤은 물건을 들어 올릴 수도 있으며 산책이 가능한 고양이 중 하나라고 한답니다.

 

 

메이쿤의 특징

 

메인쿤은 덩치에서도 알 수 있듯이 느긋함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데 , 사람들에게 안기는 것을 그렇게 좋아하지는 않는 편이며, 싫고 좋음을 울음소리로 잘 표현하는 편이라고 해요. 또한, 매우 똑똑하고 온화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 영미권에서는 거인 신사(gentle giants)로 불리우기도 해요. 그런데 보통 고양이들이 물을 매우 싫어하지만 메인쿤은 대개 물을 좋아한답니다. 그 덕에 보통 고양이들과는 달리 목욕을 시키기가 아주 편리하답니다. 심지어 물에 넣으면 수영하는 메인쿤도 종종 볼 수 있을 정도라고 하네요. 다만 고양이가 워낙 대형 종인 데다가 털이 물을 잘 먹지 않다 보니 일반 고양이 대비 샴푸를 서너 배는 더 써야 한다는 것이 단점이라면 단점일 수 있겠어요. 게다가 생긴 것 또한 일반적인 고양이보다 훨씬 턱을 비롯한 입 부위가 앞으로 돌출된 형태인지라, 진짜 호랑이처럼 생겼다고해요!

 

크기를 보여주기 위해 메이쿤 고양이를 사람이 들고 있습니다.
메이쿤 고양이2

 

마지막으로 수명은 어떤지 , 질병이 어떤것이 있는지 알아보아요~

 

수명은 약 9년~13년정도를 살지만 , 평균적으로는 12.5년을 산다고 하네요~

 

유전병이라고 하는 3가지를 알아보았어요.

 

# 비대 심근증

 

비대 심근증은 심장벽이 두꺼워지는 병이예요.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겨 심부전, 뒷다리 마비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

특히, 고양이가 중년이 도면 많이 발생하는 병으로 주기적으로 검사가 필요해요.

# 고관절 이형성증

 

고관절 이형성증은 크기가 클수록 잘 걸려 메이쿤이 취약한 질병인데요.

절뚝거림, 관절염 등을 유발해요.

그리고 고관절 이형성증을 겪는 고양이 중 99.1%가 메이쿤이었다고 해요.

# 척수성 근육위축증

 

메이쿤은 척수성 근육위축증에도 취약하다고 해요.

뒷다리부터 근육이 위축, 약화되는 병인데요.

특별한 치료법은 없지만 잘 관리해주면 일상 생활을 하며 지낼 수 있으며 ,

이는 생후 약 15주 부터 유전검사가 가능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