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9. 21. 23:07ㆍ반려동물의세계
안녕하세요. 댕댕이들이에요~
미어캣은 몽구스과에 속한 작은 식육목 동물이며 , 이 작은 동물들은 미어캣 속에 속한 유일한 종이며 아프리카 보츠와나의 칼리하리 사막, 나미비아의 나미브 사막, 남부 앙골라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주로 서식한다고 하죠. 무리 생활을 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동물인 만큼 영어권에선 이들의 무리를 따로 몹, 클랜, 갱, 등으로 부르기도 해요. 이들의 무리는 보통 20여 마리의 개체들로 구성되지만, 때때로 50여 마리가 넘어가는 초대형 규모의 무리가 모여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잠깐 들여다 봤는데 오늘 알아볼 미어캣 엄청 궁금해지는데 같이 알아보러 가보아요~
미어캣의 역사
네덜란드에서 미어캣이란 단어는 긴 꼬리 원숭이, 또는 호수 고양이를 의미하는 단어이지만 , 실제로 미어캣은 이 둘과는 관련이 없는 동물이니.. 또 다른 설로는 산스크리트어의 단어인 मर्कट에서 파생되었다는 주장인데 , 역시 영장류를 뜻하는 단어이고 markata 정도로 발음되는 단어라고 해요. 그리고 네덜란드 같은 경우 인도에서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세하기도 했고 자체적으로 동인도 회사를 운영했던 국가이니 가능성이 있고 , 아프리카 대륙에서도 남부 지역에서 분포하며 그들이 서식하는 국가는 나미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보츠와나, 앙골라 등이 대표적입니다. 특히 대부분의 개체들은 칼라하리 사막과 나미브 사막 등에서 서식한다고 하며 건조한 개활지가 주요 서식지라고 한답니다.
미어캣의 성격
DNA 깊은곳에 경계 본능을 저장하고 있는 아이인데요. 이렇게 일어서서 소속된 무리를 등지고 멀리 바라보는 자세는 트레이드 마크이기도 하죠. 그런데 이 행동도 들여다보면 단독 개체를 반려한다는 것을 재고하게 하는 모습이라 하며 , 단체 생활이라는 것 자체가 이 동물에게 얼마나 중요한 삻의 의미인지를 알려주는 단면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사람과의 관계에서는 얻어 갈 수 없는 많은 것을 배우기도 하고 서로를 보호하고 의지하기도 하는 게 본능인 거죠. 포유류 식육목의 몽구스과에 속하는 미어캣은 생존을 위해 분쟁을 피하는 고양이들과는 다르게 전면에서 단체로 공격을 하는 사나운 성격을 가졌어요. 보면 독사를 사냥하는 것으로도 유명한데 이러한 습성 때문에 독에 대한 내성을 가지는 쪽으로 진화를 하였을 정도로 지독한 놈들이라고 해요.
미어캣의 특징
작은 동물로 무게가 0.5kg~2.5kg에 불과할 정도로 가볍고 몸길이도 35cm~50cm, 꼬리길이가 25cm 정도로 크기가 아주 작은 동물이며 , 외형에서의 특징을 보면 길고 늘씬한 몸과 팔다리로 꼬리가 상당히 긴 편인데 꼬리는 미어캣이 두 발로 설 때 몸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해줘요. 얼굴도 가늘고 긴 편이며 눈 주위에 있는 검은 무늬 역시 대표적인 특징이라 하는데 , 귀 역시 작고 검은 색. 이 녀석들은 굴을 파고 생활하며 식생활 역시 땅을 파서 벌레를 찾기 때문에 발바닥이 노출되어 있으며 발가락 끝에 날카로운 발톱이 존재하죠. 발톱은 또 나무에 오를 때 역시 상당히 도움이 된다고 해요. 그리고 다리는 길고 가는 편이며 네 개의 발가락을 가지고 있는데 뒷다리가 상당히 근육질이라 두 발로 서는 데에도 큰 무리가 없어요. 털 색은 일반적으로 황갈색으로 때때로 털에 회색빛이나 은빛이 도는 경우도 있으며 , 털 색은 서식지의 환경과 유사한 편이고 등에는 불규칙적인 무늬가 존재해요. 또 꼬리 끝도 검은색이며 이러한 무늬들은 개체들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는 편이라고 하고 , 배는 회색으로 무늬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항문샘에는 분비물이 한 곳에 저장되어 있어 엉덩이 주변의 주머니 모양의 구조를 형성한다고 하네요~
미어캣의 혈통과 관리
행동 중 가장 잘 알려진 행동은 바로 보초를 서는 거지만 , 무리의 개체들 중 한 마리 혹은 그 이상의 개체들이 보초를 서며 천적을 확인하고 만약 천적이 발견된다면 소리를 내어 천적의 존재를 알리고 이 소리를 들은 개체들은 굴 속으로 들어가거나 천적을 피해 달아나버린다고 해요. 이러한 보초 활동은 서열 관계 없이 우두머리도 수행한다고 하네요. 부상을 입은 개체들은 굴 속에서 상처가 회복될 때까지 다른 개체의 도움을 받기도 하는데 , 무리에서 보모 역할을 하는 개체들도 존재하고 , 새끼를 한 번도 낳지 않은 개체가 젖을 분비할 수 있고 우두머리의 새끼들에게 젖을 먹이는 일을 한다고 하네요. 뿐만 아니라 무리의 구성원들은 함께 새끼를 보호하며 특히 보모는 보초들이 경고를 보내면 새끼를 데리고 굴 속으로 달아난다고 하죠. 주로 곤충을 포함한 절지동물을 사냥하여 잡아먹지만 , 도마뱀, 뱀과 같은 파충류, 새의 알, 작은 포유류와 식물, 버섯 등도 먹을 수 있어요. 독을 가진 전갈들도 잡아먹는데, 전갈의 독에 면역성이 있고 전갈을 사냥하면 침이 있는 부분을 떼어먹으며 , 코브라를 잡아먹는걸로도 조금 유명한데, 실제로 코브라를 잡는 경우는 그리 흔하진 않다고 한답니다.
마지막으로 미어캣의 수명은?
미어캣의 평균 일반적 수명은 5년~15년 정도 사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
사랑과 애정 , 진심어린 관심을 듬뿍 주시며 철저한 관리로 인해 단순한 수치에 불과하다는 걸 체험하실 거라 생각해요~
'반려동물의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릴적 보았던 '방가방가 햄토리'라는 만화로 인기스타가 된 햄스터를 알아보려고 해요~ (4) | 2022.09.27 |
---|---|
현대어로 가시돼지라 하는 반전의 고슴도치를 알아보려고 해요. (0) | 2022.09.26 |
흔히 보는 견주들의 고문인 어지럽힘을 제일 잘한다는 지랄견에 버금가는 페럿을 알아보려고 해요. (2) | 2022.09.24 |